맨위로가기

윌리엄 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부스는 1829년 영국에서 태어나 구세군을 창설한 인물이다. 그는 14세에 종교적 경험을 한 후 감리교 평신도 설교자가 되었고, 1865년 런던에서 동 런던 크리스천 미션을 시작했다. 1878년 구세군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군대식 조직을 도입하여 사회 복지 사업과 기독교 복음 전파에 힘썼다. 윌리엄 부스는 58개 국가에 구세군 사역을 설립하고, 1890년에는 저서 《가장 어두운 잉글랜드와 탈출구》를 통해 사회 개혁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말년에 시력을 잃는 어려움 속에서도 활동을 이어갔으며, 1912년 사망 후 그의 유산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기독교 성직자 - 존 폭스
    존 폭스는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 시기 작가로, 《순교자 열전》을 저술하여 개신교 순교자들의 삶을 기록했으며, 잉글랜드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기독교 성직자 - 조지 폭스
    조지 폭스는 17세기 잉글랜드에서 기존 교회에 저항하고 내면의 빛을 강조하는 독자적인 신앙관을 설파하며 퀘이커교를 창립한 종교 지도자이다.
  • 영국의 복음주의자 - 허드슨 테일러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회를 설립하고 중국 문화 존중과 믿음 선교 원칙을 통해 51년간 중국 선교에 헌신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이다.
  • 영국의 복음주의자 - 존 웨슬리
    존 웨슬리는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순회 설교와 속회 조직, 평신도 설교자 임명을 통해 감리교 운동을 확산시키고,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옹호하며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강조하며 사회 개혁에 힘썼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여러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부스
기본 정보
윌리엄 부스
직함제1대 구세군 대장
임기 시작1865년 7월 2일
임기 종료1912년 8월 20일
계승자브람웰 부스
출생일1829년 4월 10일
출생지잉글랜드 노팅엄셔 주 스니턴
사망일1912년 8월 20일
사망지잉글랜드 런던 해들리 우드
국적잉글랜드
배우자캐서린 멈퍼드
자녀브람웰
발링턴
케이트
엠마
허버트
마리
에반젤린
루시
윌리엄 부스 서명
직업 및 종교 활동
직업목사, 사회 사업가
종교성결교회 (초기), 감리교 -> 구세군 창립
종교 활동감리교 설교가, 구세군 창립자
주요 활동
창립구세군
주요 사상기독교 사회주의, 복음주의

2. 초기 생애

윌리엄 부스는 1829년 잉글랜드 노팅엄 스니튼에서 사무엘 부스와 메리 모스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자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출생지는 현재 박물관이다.[2] 아버지 사무엘 부스는 더비셔 벨퍼 출신의 못 제조자이자 건축업자였지만, 윌리엄이 어렸을 때 가족은 빈곤으로 몰락했다. 13세 때 아버지는 극빈 속에서 사망했다. 1842년, 아들의 학비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었던 사무엘 부스는 13세의 윌리엄을 도제로 전당포업자에게 보냈다.[3]

어머니는 억척스러운 여성이었으며, 남편 사후 부스와 두 명의 누이들을 키웠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남편이 잃었던 재산을 어느 정도 되찾을 정도로 열심히 일했다. 또한 자선심도 깊어, 거지에게 아무것도 주지 않고 집 앞에서 돌려보내는 일은 없었다. 부스는 훗날 "나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1848년 도제 계약이 끝나자 부스는 실업 상태였고 1년 동안 일자리를 찾았지만 허사였다.[6] 1849년 부스는 마지못해 가족을 떠나 런던으로 이주하여 전당포업자에게 일자리를 얻었다. 런던에서도 평신도 설교를 계속하려 했지만, 그에게 돌아오는 설교 일이 너무 적어 좌절했고, 결국 평신도 설교자직을 사임하고 거리와 케닝턴 커먼에서 야외 설교를 시작했다.

이후 런던에서 캐서린 맘포드를 만나 1852년 약혼하고, 1855년 결혼했다. 캐서린 맘포드는 1829년 1월 17일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감리교 전도사였다. 캐서린은 12세 때 소년 금주회의 서기를 맡았고, 16세 때 죄로부터 구원받았다는 자각을 했다. 19세 때부터 감리교 개혁파에 속해 있었으며, 부스의 설교를 들은 것을 계기로 만나게 되었다.

2. 1. 종교적 회심

종교적 개종은 10대 시절에 경험했다.[4] 독서를 통해 글쓰기와 연설 훈련을 하여 감리교 평신도 설교자가 되었다. 가장 친한 친구 윌 샌섬의 영향을 받아 전도에 헌신하게 되었다. 1840년대에 샌섬과 함께 노팅엄의 가난하고 지은 사람들에게 설교를 하기도 하였다.[5]

존 웨슬리파 교회에서 아이작 마스덴의 설교를 듣고 감동받았으며, 이듬해 미국인 순회 전도자 제임스 카우웨이의 설교를 듣고 회개하여 신앙에 입문하였다. 제임스 카우웨이는 부흥주의자로, 가는 곳마다 많은 사람들을 회개시킨 인물이었다.

3. 감리교 목회 활동

1851년 부스는 감리교 개혁 교회에 가입했는데, 이 교회는 웨슬리 감리교 교회에서 1849년에 분리된 교회였다. 1852년 4월 10일, 23번째 생일에 전당포 일을 그만두고 Clapham에 있는 Binfield 예배당에서 풀타임 설교자가 되었다. 윌리엄은 부흥주의 미국인 제임스 코이가 영국을 방문하여 노팅엄의 브로드 스트리트 예배당에서 설교했던 방식을 따랐다. 풀타임 설교를 시작한 지 한 달 남짓 지난 1852년 5월 15일, 윌리엄 부스는 캐서린 멈포드와 정식으로 약혼했다.

회중주의적 접근 방식에 관심이 있던 부스는 Stockwell에서 데이비드 토마스와 사역에 대해 상의했고, 토마스를 통해 존 캠벨과 제임스 윌리엄 매시를 만났다. 존 프로스트 목사의 훈련을 받는 것이 추천되었지만, 부스는 프로스트의 학교를 싫어하여 곧 떠났다.[7] 1853년 11월, 링컨셔의 스폴딩에서 개혁 교회의 목사가 되도록 초청받았다. 1855년 6월 17일 런던의 스톡웰 그린 회중 교회에서 캐서린 멈포드와 결혼했다.

1857년 여름, 부스 가족은 요크셔 서부의 Brighouse로 이사했고, 베델 예배당의 설교자로 임명되었다. 윌리엄과 캐서린은 지역 공장에서 일곱 살 소녀들을 고용하는 것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현재 Wetherspoons 펍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델 스트리트의 이전 예배당에는 부스가 그곳에서 봉사했음을 기념하는 블루 플라크가 있다.[8] 1859년까지 그는 아내와 함께 게이츠헤드로 이사했다.

3. 1. 감리교 탈퇴

부스는 감리교 연례 회의에서 자신을 목회자로 계속 임명하여, 복음주의 캠페인 요청에 응하기 위해 자신의 임무를 소홀히 해야 한다는 사실에 불만을 느꼈다. 1861년 리버풀 회의에서, 게이츠헤드에서 3년간 사역한 후, 풀타임 복음주의 활동을 위해 자유롭게 해달라는 요청이 다시 거부되자, 부스는 감리교 뉴 커넥션에서의 사역을 사임했다.[9]

4. 구세군 창설

1865년 윌리엄 부스는 런던 동부에서 '기독교 부흥 협회'(Christian Revival Association)를 설립하고, 매일 저녁 모임을 통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기독교적 구원을 전파했다. 이후 '동런던 기독교 선교회'(East London Christian Mission)로 이름을 변경했다.[12]

크리스천 미션의 활동은 더디게 성장했으며, 부스는 수프 키친(백만 명을 위한 식량)을 여는 등 다양한 자선 활동을 펼쳤다.

4. 1. 군대식 조직 도입

1877년 "기독교 전도회는 의용군(Volunteer Army)이 아니다. 정규병 즉 구세군(Salvation Army)이다"라는 영감에 의해 "기독교 전도회, 일명 구세군"으로 명명했고, 이것이 마침내 구세군이 되었다.[35] 1879년 12월에는 주간지 『The War Cry영어』를 발행했고, 이듬해에는 사관학교(신학교)를 설립하는 등 조직 정비도 진행되었다.[35]

4. 2. 사회 사업 확장

1880년 2월 구세군은 미국에, 1881년에는 프랑스에 사관을 파견하며 활동 범위를 넓혀갔다. 1888년 가을에는 런던에서 제1회 만국 대회를 개최하여 16개국에서 2천여 명의 사관이 모였다.[35] 1907년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메이지 천황을 알현하고, 일본 각지를 "전전"하며 관민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35]

5. 국제적 확장

1880년 2월, 미국에 사관을 파견하였고, 1881년에는 프랑스에 사관을 파견했다. 1888년 가을, 런던에서 제1회 만국 대회를 개최하여 16개국에서 2천여 명의 사관이 모이는 등, 활동 무대는 세계 규모로 확대되었다.

5. 1. 일본 방문

1907년 윌리엄 부스는 일본을 방문하여 구세군 대장의 군복을 착용한 채 메이지 천황을 알현하고, 일본 각지에서 강연하며 관민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35] 와세다 대학 방문 시에는 야마무로 군페이가 통역으로 동행했다.

6. 한국으로의 전파

Robert Hoggard|허가두영어가 1908년에 한국에 구세군을 전파하였다.[35]

7. 말년과 유산

구세군과 윌리엄 부스에 대한 여론은 점차 호의적으로 바뀌었다. 말년에 부스는 왕, 황제, 대통령을 만났으며, 언론은 '장군'이라는 칭호를 존경심을 담아 사용하기 시작했다.

1899년, 부스는 양쪽 눈의 시력을 잃었으나 잠시 휴식 후 회복했다. 1904년, 영국 전역을 순회하는 모터 투어에 참여하여 여러 지역에서 군중들에게 설교했다. 1906년 런던 시의 자유 시민이 되었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1902년에는 에드워드 7세와 알렉산드라의 대관식에 초청받았다.[21]

1907년 마지막으로 북미를 방문했고, 1909년에는 6개월간 영국 순회 모터 투어를 했다. 이 투어 중 오른쪽 눈이 실명되고 왼쪽 눈은 백내장으로 시력이 흐려짐을 알게 되었다. 1909년 8월 21일, 가이'스 병원에서 오른쪽 눈을 제거했다. 이후에도 1910년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에서 캠페인을 벌였고, 영국에서 마지막 모터 투어를 했다.

윌리엄 부스는 1912년 8월 20일, 83세의 나이로 런던 해들리 우드 자택에서 사망했다(구세군 용어로는 영광으로 승진). 3일간 클래프턴 의회 홀에 안치된 후, 15만 명이 조문했다. 1912년 8월 27일, 올림피아 런던에서 장례식이 열렸으며, 메리 여왕을 포함한 4만 명이 참석했다. 조지 5세는 "국가는 훌륭한 조직가, 가난한 사람들은 헌신적인 친구를 잃었습니다"라고 애도했다. 미국 대통령 윌리엄 태프트는 "부스의 긴 생애와 재능은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을 돕기 위한 고귀한 일에 헌신되었다"라고 평가했다. ''데일리 익스프레스'', ''사우스 아프리카'', ''글로브 앤 메일'', ''뉴욕 타임스'' 등 전 세계 언론이 부스의 죽음을 보도했다.[21]

장례 행렬은 구세군 국제 본부에서 시작되었으며, 1만 명의 제복을 입은 구세군 신자들이 뒤따랐다. 40개의 구세군 금관악대가 헨델의 ''사울'' 중 "장송 행진곡"을 연주했다. 부스는 애브니 파크 묘지에 아내 캐서린과 함께 묻혔다.[22]

사후, 아들 브램웰 부스가 구세군 2대 장군이 되었다. 윌리엄 부스는 각 장군이 후임자를 선택하도록 했으나, 현재 구세군 장군은 구세군 최고 위원회에서 선출된다.

7. 1. 유산과 영향

바첼 린지는 윌리엄 부스를 기리기 위해 "윌리엄 부스 장군이 천국으로 들어가다"라는 시를 썼다.[23] 찰스 아이브스는 이 시에 곡을 붙였다. 1990년 영국 국영 철도 차량의 디젤 기관차는 '윌리엄 부스'로 명명되었다.

캐나다 농업식품부에서 개발한 윌리엄 부스 장미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영국 구세군의 장교 훈련을 위한 대학인 런던 데니쉬 힐에 위치한 윌리엄 부스 기념 훈련 대학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24] 그의 고향인 노팅엄에 있는 윌리엄 부스 초등학교와 버밍엄 시내의 윌리엄 부스 레인도 마찬가지이다. 전 세계의 많은 구세군 훈련 대학, 학교, 고아원, 병원 및 기타 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조지 에드워드 웨이드가 제작한 부스 부부의 동상은 1929년 런던 구세군 훈련 대학 옆인 챔피언 힐에 세워졌다.[25] 이 동상들의 복제품은 최초의 구세군 집회가 열렸던 장소 근처인 마일 엔드 로드에 서 있다. 윌리엄의 동상은 1979년에, 캐서린의 동상은 2015년에 공개되었다.

캐나다, 앨버타에 있는 윌리엄 부스 산도 부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6]

윌리엄은 성공회에서 8월 20일에 캐서린 부스와 함께 기념일을 통해 기념된다.[27]

1907년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구세군 대장의 군복을 착용한 채 메이지 천황을 알현한 외에도, 일본 각지를 "전전"하여 관민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35]

부스는 교육 기관에서 정규 신학 교육은 거의 받지 못했지만, 구세군 설립의 공적으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만년에는 맹인이 되었지만, 항상 빈민을 걱정하고, 중국 전도를 지시하며, "너, 만약 믿기만 하면 하나님의 약속은 확실하다"라고 외치며 세상을 떠났다.[36] 런던 근교의 Abney Park Cemetery|아브니 공원 묘지영어에 매장되었다.

8. 가족 관계

윌리엄 부스는 1855년 6월 17일 서리의 일부였던 스톡웰 뉴 채플에서 캐서린 부스와 결혼했다.[29] 캐서린 부스는 훗날 구세군의 공동 창립자이자 '구세군의 어머니'로 불리며 여성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윌리엄 부스와 캐서린 부스 사이에는 8명의 자녀가 있었다.[30][31]

이름출생일사망일
브램웰 부스1856년 3월 8일1929년 6월 16일
볼링턴 부스1857년 7월 28일1940년 10월 5일
케이트 부스1858년 9월 18일1955년 5월 9일
엠마 부스1860년 1월 8일1903년 10월 28일
허버트 부스1862년 8월 26일1926년 9월 25일
마리 부스1864년 5월 4일1937년 1월 5일
에반젤린 부스1865년 12월 25일1950년 7월 17일
루시 부스1868년 4월 28일1953년 7월 18일



이들 중 장남인 브램웰 부스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구세군의 2대 대장이 되었다.

9. 저서


  • 《가장 어두운 잉글랜드와 탈출구(In Darkest England and the Way Out)》
  • 《순수한 마음(Purity of Heart)》
  • 《무한한 구원: 윌리엄 부스의 단편 저작(Boundless Salvation: The Shorter Writings of William Booth)》 (앤드류 M. 이슨과 로저 J. 그린 편집, 뉴욕: 피터 랑, 2012년)
  • 《다킨턴 제1연대 수석 상사 두유어베스트: 구세군 군단의 내면생활 스케치(Sergeant-Major Do-Your-Best of Darkington No. I: Sketches of the Inner Life of a Salvation Army Corps)》 (1906년)
  • 《창립자가 다시 말하다》(Founder Speaks Again)》 (구세군, 1960년 12월 1일)
  • 《가장 어두운 잉글랜드와 그 출구》 (야마무로 타케호 역, 아이카와 서방)
  • 《오순절 이야기》 (구세군 일본 본영, 1907년)
  • 《구세군의 군령 및 군율 병사의 권》 (구세군 일본 본영, 1902년)
  • 《성결의 요약》 (부스 저, 헨리 블라드 편, 구세군 일본영, 1906년)

참조

[1] 간행물
[2] 웹사이트 William Booth Birthplace Museum https://www.salvatio[...] 2023-02-09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서적 Social Welfare Pioneers https://books.google[...] Taylor Trade Publications
[8] 웹사이트 Chris Helme - BRIGHOUSE SALVATION ARMY 1887 - 2017 https://www.chrishel[...]
[9] 서적 What Will A Man Give in Exchange For His Soul Xlibris
[10] 서적 The Salvationists A R Mowbray & Co Ltd
[11] 웹사이트 William Booth – Founder Of The Salvation Army http://www.salvation[...]
[12] 서적 The Salvationists A R Mowbray & Co Ltd
[13] 웹사이트 Belper Research Website: William Booth, Founder of the Salvation Army http://www.belper-re[...] 2023-07-04
[14] 웹사이트 William Bramwell Booth 1829–1912 His Life and Ministry http://www.gospeltru[...]
[15] 서적 The Salvationists A R Mowbray & Co Ltd
[16] 문서 Officership in the Salvation Army: A Case Study in Clericalisation http://researcharchi[...]
[17] 서적 1929: A Crisis that Shaped The Salvation Army's Future Salvation Books
[18] 서적 'General Booth: "the Family", and the Salvation Army: Showing its Rise, Progress, and ... Decline'
[19] 웹사이트 The Booths: The Salvation Army (1878–1890) http://www.ourchurch[...]
[20] 웹사이트 William Booth: His Life and Ministry http://www.gospeltru[...]
[21] 웹사이트 Remembering General William Booth – The Salvation Army NCV DHQ https://virginiasalv[...] 2020-07-24
[22] Youtube William Booth's funeral https://www.youtube.[...]
[23] 웹사이트 General William Booth Enters into Heaven by Vachel Lindsay. Jessie B. Rittenhouse, ed. 1922. The Second Book of Modern Verse http://www.bartleby.[...] 2022-06-19
[24] 웹사이트 William Booth College, Denmark Hill https://www.geograph[...]
[25] 서적 'The Monument Guide to England and Wales: A National Portrait in Bronze and Stone'
[26] 웹사이트 Mount William Booth https://www.peakbagg[...] 2023-08-06
[27]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08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간행물 'Clibborn, Catherine Booth- (1858–1955)'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6-10-26
[31] 간행물 'Booth, (William) Bramwell (1856–1929)'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6-21
[32] 웹사이트 Boundless Salvation http://www.hymntime.[...] 2020-04-27
[33] 웹사이트 Send the Fire http://www.hymntime.[...] 2020-04-27
[34] 웹사이트 Stories of inspiration beyond the songs https://others.org.a[...] 2020-04-27
[35] 서적 救世軍二十五年戦記 https://dl.ndl.go.jp[...] 救世軍本営
[36]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教文館 1985-01-01 # 날짜 정보가 부분적으로만 제공되었으므로 년도만 표시
[37] 백과사전 윌리엄 부스 https://www.doopedia[...] 두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